10마리 개미중 7마리만 일한다???
개미는 북극과 남극 극한의 산꼭대기들, 그리고 몇 개의 섬들을 제외한
전세계 모든 대륙의 땅, 썩은 나무숲이나 두엄, 죽은 나무들에서 집을 짓고 살아간다.
전 세계적으로 9천여종 이상이나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개미는 군집(群集)이라고 불리는 고도의 조직사회(組織社會)를 구성하고 있다.
개미는 구성원들 상호간의 집단생활에 필요한 다양하면서도 정교한
사회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이 생활하는 생태계 안에서 중요한 규칙을 가지고 생활한다.
이탈리아의
사회학자이자 경제학자인 파레토가 어느 날 땅을 보며 개미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있었다.
개미들은 너무나 부지런히 일을 하고 있었으나
오랜 시간을 가만히 들여다 보고는 모든 개미가 열심히 일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자세히 보니
열심히 일하지 않는 개미가 하나 둘씩 눈에 띄었고,
더욱 자세히 보았더니
일을 제대로 하지 않는 개미의 숫자가 약 80% 정도로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후 파레토는
개미들을 잡아서 분류하기 시작했다.
일을 열심히 하는
개미(20%)만 따로 모아서 일을 시켜 보았다.
처음에는
그 20%의 개미가 모두 열심히 일을 하였으나,
시간이 지나자
일을 하지 않는 개미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시간이 더 한참 지난 후에
그 20%의 개미중에서 20:80의 비율에 맞춰 일하는 개미와 노는 개미로 나뉘어 지는 것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게으른 80%의 개미들에게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80%의 개미들은
처음에는 놀기만 하더니 어느 순간부터 일하는 개미가 발견되기 시작했고,
한참의 시간이 지나자
20:80의 비율대로 일하는 개미가 약 20% 생겨난 것이다.
이것이 개미이론이자 20:80의 법칙이다.
파레토는 이러한 20:80의 법칙이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서 자연세상에서 뿐만 아니라
인간세상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전체 결과의 80%는 전체원인 중 20%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유명한 ‘2080법칙’, ‘파레토법칙’이다.
예를 들어
20%의 소비자가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고,
국민의 20%가 전체 부(富)의 80%를 차지하며,
직장에서 20%의 근로자가 80%의 일을 하거나
백화점 매출의 80%는 백화점의 단골인 20%가 올려준다는 것이다.
개인은
일하는 시간의 80%를 쓸데없는 데에 낭비하며 끙끙거리고
기업도
20%의 고객에게만 신경을 써도 되는데
나머지
80%의 고객까지 챙기느라 허덕거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20:80의 법칙대로라면
경영자의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직원들이 초과업무를 하는 성실성을 요구하는 것보다
80%의 성과를 달성하는
핵심적인 소수 20%를 찾아내는 안목이다.
(출처 : “마케팅이 곧혁신이다. 김유일 뿌리출판사”)
조직이나 모임중
활동하는 구성원을 볼때마다 파레토의 ‘개미이론’이 떠오른다.
조직의 규모에 따라
열심히 하는 사람, 적당히 하는 사람, 이도 저도 아닌 사람들이 섞여 있다.
개미이론을 알고부터는
이러한 부류의 사람들이 생겨나는 것이 어쩔 수 없는 현상임을 이해한다.
하지만 전체적인
조직 분위기가 열심히 하려는 사람의 편이 되도록 각자의 노력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분위기가 잘못타면
자칫 20%보다 80%쪽에 힘이 실리게 될까 우려도된다.
바라건대
우리들의 은하수 친구들은 다양한 카페활동을 통해서
20%속에서는
80%가 적게 생겨나게 하고,
80%속에서는
20%가 많이 생겨나게 하는,
2080의 파레토 선순환(善順環)이 작동하기를 기대해 보면서~~~ㅎ
'정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아오지 않은 네가지 (0) | 2008.03.04 |
---|---|
당신의 뇌 타입은 (0) | 2008.02.28 |
(choi's칼럼) 10마리 개미중 7마리만 일한다??? (0) | 2007.11.23 |
섹스박물관 아세요?[펌] (0) | 2007.10.22 |
우주에 단하나뿐인 당신은 VIP이십니다.!!! (0) | 2007.09.14 |